나누는 마음, 함께하는 정신건강 Yeonjei Mental Health Center
Home정신건강안내아동청소년 정신건강정보우리아이마음건강 알아보기
-
-
- 언어발달의 지연
- 전반적인 의사소통의 손상
- 기쁨, 두려움 분노의 감정이 제한적이며 부적절함
- 사람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기쁨이 제한
- 모방 행동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변화에 대한 저항을 보이거나 비정상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행동패턴
-
약물치료 :
자해행동, 강박행동, 상동행동, 폭력적인 행동 감소, 기분조절프로그램 :
사회기술훈련, 일상생활기술훈련, 특수교육부모교육
-
-
-
- 자리에 앉아 있기를 어려워한다.
- 부주의한 실수를 많이 한다.
- 주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 말을 많이 하고, 대화 도중 말을 방해하거나 끼어든다.
- 조직화, 체계화 하는데 문제가 있다.
-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
- 안절부절 못하고 움직인다.
-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른다.
- 끊임없이 활동한다.
- 불쑥 대답을 한다.
- 순서를 잘 지키지 못한다.
- 방해하거나 끼어든다.
-
약물치료 :
과잉행동, 충동적인 행동 감소, 주의집중 시간의 증가 기대개인상담, 인지-행동치료, 환경치료, 사회기술훈련, 놀이치료, 부모 및 교사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부모, 가족상담
-
-
- 수면장애가 있다.
- 매사에 흥미가 없다.
- 뚜렷한 원인없이 나타나는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 지나친 걱정과 과도한 불안감이 있다.
- 사회활동 및 집단활동을 거부한다.
- 학교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있다.
- 불만 및 부정적인 사고가 늘어난다.
- 짜증, 반항, 등교 거부, 성적 저하, 청소년 비행, 약물 남용 등을 보인다.
-
약물치료 :
우울증상 호전개인상담, 지지적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집단치료,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 가족치료, 자조모임
-
-
-
과도한 집착과 사용
- - 인터넷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할 생각만 한다.
- -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보낸다.
-
내성과 금단
- -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사용하고 더 자극적인 것을 찾는다.
- -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 우울, 초조감에 시달리고, 한시도 인터넷에 대한 생각을 놓지 못한다.
-
일상생활장애
- - 인터넷 사용으로 학업성적이 저조하고 학교를 그만두기도 한다.
- - 친구를 만나지 않고 취미활동에도 관심이 없어진다.
- -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어 소원해지거나 못하게 할 시 부모에게 반항한다.
-
신체적증상
- - 만성피로감, 안구건조증, 요통, 위장장애, 수면장애, 혈압상승
- -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영양실조, 혹은 운동부족과 과식으로 인한 체중 증가를 초래한다.
시간에 대한 지각 왜곡
-
-
약물치료 :
의존, 금단증상 감소개인상담, 집단치료,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사회기술 향상프로그램, 행동수정 및 충동조절 프로그램, 효율적인 시간관리 법, 새로운 여가 생활관리 법
-
-
- 일이나 학업에 지나치게 불안, 초조, 걱정, 두려움, 경직감을 보인다.
- 스스로 불안감을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안절부절 못한다.
-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 집중하지 못하고, 우유부단하고 꾸물거리는 등의 지연행동이 많이 나타나며 현실적인 일처리를 미룬다.
- 수면이 어렵다.
- 짜증 및 신경질을 많이 낸다.
-
약물치료 :
불안감의 감소프로그램 :
긴장이완훈련, 자아증진훈련, 놀이치료, 인지-행동치료, 대처방법교육부모교육 :
가족 내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방법 교육
-
-
약물치료 :
행동조절프로그램 :
행동치료, 놀이치료, 사회성치료부모교육 :
부모 훈련, 가족에 대한 개입
-
-
틱장애갑작스럽고 빠르고 반복적이고 비율동적이며 상동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내는 경우
뚜렛장애운동 틱과 음성 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가 1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
-
- 운동 틱 : 순간적인 눈 깜박임, 목 경련, 얼굴 찌푸림이나 어깨 으쓱임 등
- 음성 틱 : 헛기침, 킁킁거리기, 욕설하기, 외설스러운 단어 이야기하기
- 복합성 운동 틱 : 얼굴 표정, 만지기, 냄새 맡기, 발 구르기 등
-
약물치료 :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 틱 증상 완화정신치료는 대체로 효과가 없지만, 행동장애나 적응문제가 있을 때에는 필요
프로그램 :
놀이치료, 행동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