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는 마음, 함께하는 정신건강 Yeonjei Mental Health Center
Home정신건강안내성인 정신건강정보정신건강 편견
[네이버 지식백과] 편견과 차별 그리고 인권 (정신이 건강해야 삶이 행복합니다, HIDOC)
- 01.낫지 않은 병이다.
- 약물치료만으로도 호전되고 치료재활기술이
잘 개발돼 있다.
- 02.유전된다.
- 유전적 경향성이 있을 뿐이며 이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도 같다.
- 03.특별한 사람이 걸리는 병이다.
- 평생 동안 열 명 중 세 명은 정신질환에 걸린다.
- 04.이상한 행동만 한다.
- 증상이 심할 때만 잠시 부적절한 행동을 한다.
- 05.대인관계가 어렵다.
- 만날 친구가 없어 혼자 지낼 뿐 실제는 사귀기를
원한다.
- 06.직장생활을 못한다.
- 정신질환이 기능을 상실시키지는 않으며 일할
기회가 없어서 못한다.
- 07.운전 · 운동을 못한다.
- 상태가 악화되었을 때만 주의하고 제한하면 된다.
- 08.열등한 사람이다.
- 정신질환이 지능과 능력을 떨어뜨리지는 않는다.
- 09.위험하고 사고를 일으킨다.
- 치료받은 사람은 온순하고 위험하지 않다.
- 10.격리 수용해야 한다.
- 급성기가 지나면 시설 밖에서의 재활치료가
바람직하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과 거기서 비롯된 차별은 꽤 오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치기 어려운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잘못된 오해가 쌓인 것이다. 정신질환이 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
질병이 된 지금에도 편견과 차별은 여전히 공고하다. 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대응이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데 있다. 편견이 두려워 자신의 병을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회적 스트레스가 늘어나면서 정신질환에 노출된 사람들이 증가하는 요즘, 이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는 일은 특정한 환자가 아니라 언제든
똑같이 질환에 고통 받을 수 있는 우리 모두의 인권을 위하는 일이다.
고치기 어려운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잘못된 오해가 쌓인 것이다. 정신질환이 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
질병이 된 지금에도 편견과 차별은 여전히 공고하다. 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대응이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데 있다. 편견이 두려워 자신의 병을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회적 스트레스가 늘어나면서 정신질환에 노출된 사람들이 증가하는 요즘, 이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는 일은 특정한 환자가 아니라 언제든
똑같이 질환에 고통 받을 수 있는 우리 모두의 인권을 위하는 일이다.